본문 바로가기
Cardiology

관상동맥 CT 조영술 (coronary CT angiography, CCTA)

by yunjikim 2024. 7. 29.

관상동맥 CT 조영술(coronary CT angiography; 이하 CCTA)은 일반적으로 관상동맥 질환의 존재를 발견하고, 내강의 협착을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CCTA는 비침습적이며, 침습적 혈관조영술에 비해 병원 체류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CCTA의 정확도는 매우 높아, 민감도는 94%–100%, 특이도는 92%–95%에 이른다.

 

CT 영상은 X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을 영상화하는 것이다. 박동하는 심장의 정지영상을 얻기 위하여는 심장의 움직임이 적은 시기에 CT 영상을 얻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심전도를 이용하여 심장의 일정 주기에서 영상을 얻는다. 이러한 기법을 심전도 동조 CT라 한다. 이는 심전도를 추적하면서 심전도의 일정 부분에서만 영상을 획득하거나, 심전도를 기록하면서 모든 심장주기의 영상을 얻어 놓은 후 심전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심전도의 일정 부분에서 얻어진 영상자료를 모아 전체 영상을 만드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CT 관상동맥 조영술의 진단적 정확도와 심박수와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다. 느린 심박수는 관상동맥의 움직임이 최소가 되는 심장 주기의 분리기를 길게 하여 제한된 시간해상도로 관상동맥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조건을 만들어 준다. 따라서 심박수가 느릴수록 관상동맥 조영술의 진단적 정확도는 올라간다. 

  • The desired heart rate is 50-65 bpm.

심박수의 조절을 위하여 베타차단제를 사용하며, 이러한 베타차단제는 심박수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검사 도중 심박수의 변화를 줄여주는 역할도 한다. 베타차단제의 금기증인 저혈압, 심부전, 방서맥, 방실차단의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관상동맥의 확장을 위하여 Nitroglycerin을 사용할 수 있다. 관상동맥이 확장되면 제한된 CT 공간해상도로 관상동맥의 협착 유무를 더 자세히 영상화 할 수 있지만 Nitroglycerin의 사용이 CT 관상동맥 조영 술의 진단적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 On the day of the exam, please do not consume any caffeinated beverages or food.
    (coffee, caffeinated sodas, chocolate, etc.)
  • Do not eat food within the last two hours prior to the exam.
  • You may drink clear, non-caffeinated liquids until you arrive at the scanner.

CT 검사에서는 호흡 운동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 여 단일 호흡정지 기간 중 영상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대개 우폐동맥이나 기관분지부에서부터 심첨부까지를 촬영범위로 선택하며 최신의 64열 다중절편 CT의 경우 이러한 범위를 촬영하는 데 5초에서 12초 정도가 소요되므로 단일 호흡 정지로 영상화가 가능하다.

  • Before beginning the cardiac CT exam, you will be coached in a method to hold your breath.

관상동맥의 협착 유무를 판정하기 위하여는 높은 대조도가 필요하며 조영제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조영제는 대개 60~120ml의 양을 초당 3.5~5ml의 속도로 주입하게 된다. 조영제의 주입 후 촬영 시작 지연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관상동맥이 가장 높은 조영을 보일 때 촬영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CT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을 촬영하는 경우 상완정맥의 정맥로 확보가 유일한 침습적인 시술로, 시술 자체에서 유래하는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iodine 조영제와 X-ray라는 전리 방사선의 사용 측면에서 CT의 일반적인 위험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검사시 심박수의 조절과 관상동맥 확장을 위하여 베타차단제나 nitroglycerin 등의 약제를 사용하기도 하므로 이러한 약제의 부작용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Card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MP - 확장성 심근병증  (0) 2024.06.17
ICD 삽입형 제세동기  (0) 2024.03.11
IABP - 대동맥내 풍선펌프  (0) 2024.01.30
Pericardial effusion, Cardiac Tamponade, PCC  (0) 2024.01.08
SICMP - 스트레스 유발성 심근증  (0) 2023.12.29